뭐꼬
이 노래는 1936년 동양극장(서대문 문화일보 자리)에서 초연된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의 주제곡이다 이 신파극은 장안을 눈물바다로 만들었는데 그 당시 홍도역에 차홍녀, 오빠역에 황철이었다'사랑에 속고'는 월북한 천재 작가 임선규(문예봉의 남편)의 작품인데 몇 년 전 방영된 KBS드라마 '동양극장' 에선 그 당시 주연 배우 차홍녀역에 이승연, 황철역에 이재룡이 각각 맡아 열연하기도 하였다.
홍도야 울지마라 - 김영춘
이노래는 세월따라 노래따라에서
발취
이 노래의 원창 가수 故 김영춘 선생
"홍도야 우지마라"는. 한국인의 영원한 누이 홍도를 통해, 가난하지만 정결했던 시대를 낭만적 감수성으로 떠올리게 하는 우리민족 정서의 부표와도 같은 연극이다. 오빠의 학비를 벌기 위해 기생이 될 수밖에 없었던 홍도가 오빠의 친구인 대학생과 결혼하지만 시댁 식구의 박해로 쫓겨났다가 결국 살인미수까지 저지르게 된다는 이야기여성 수난극의 전형이자 "한국형 최루(催淚)극"의 원조가 될 만한 이 대중신파극의 명성에 비해, 이 극을 쓴 작가의 이름은 우리에게 낯설기만 하다. 임선규. 일제시대 최고 인기배우였던 문예봉의 남편이기도 하지만, 광복후 부부가 월북을 택하면서 우리의 기억속에서 스러져갔다.
남로당 창당대회 연극 발표...북으로 간후 '폐인아내 문예봉은 '인민배우'칭호받고 안정된 삶
"홍도야 우지마라"는 유랑 극단들이 나중에 임의로 지은 이름이었고, 첫공연 때의 제목은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희곡 원제목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였다. 이 연극은 당시 우리나라 최초의 연극전용극장이었던 동양극장 전속극단이던 청춘좌에 의해 1936년 7월 23일부터 31일까지 초연되었다. 초만원을 이룬 관객들은 홍도의 불행 앞에서 한 몸이 되어 눈물 바다를 이루었다. 종연 후에도 극을 보지 못한 사람들의 성화가 빗발쳤다. 법정에 선 홍도가 오빠의 감동적인 변론으로 무죄선고를 받게 되는 후속편까지 제작되었고, 한꺼번에 전후편이 상연되기도 했다. 재공연은 쉬임없이 계속됐다.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는 30년대 최고의 흥행을 기록하면서 대중 신파극의 상징이 됐다. 1940년 콜럼비아 레코드사가 김영춘의 노래로 주제가(‘홍도야 우지마라’)도 만들었다. 임선규의 인기는 40년대까지 이어져 동학농민전쟁을 다룬 ‘동학당’의 정읍 공연 때는 이를 보기 위해 몰려 온 관객들로 인해 배우들조차 여관을 잡을 수 없을 정도였다.
임선규의 월북과 이후의 생은 아내이자 조선 은막계의 "퀸"이었던 문예봉의 행적과 분리하기 어렵다. 문예봉은 1932년 16세의 나이로 이규환 감독의 "임자없는 나룻배"에 출연해 일약 당대 최고의 스타가 됐다. 이 영화는 무성영화 시대의 기념비적인 작품이었다. 문예봉의 인기는 신문 학예면(문화면)을 끊임없이 달구었고 거리에서 우연히 친구 아이를 안고 있어도 그의 "모성애"가 회자될 정도였다. 그는 "3천만의 연인"이었다. 임선규는 무학이었던 문예봉에게 글과 문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의 친일 행적은 광복후 자신들의 운명을 낚아채고 만다. 임선규는 일제말엽에 "반도 최초의 지원병 주제극"인 ‘동백꽃 피는 마을’을 쓰고 친일연극단체에 가담하거나 일본 고위관료와 친분을 맺는 등의 행적을 보였다. 문예봉 또한 어용영화나 국책영화에 출연했다.
영화 홍도야 울지마라 포스터감독; 전택이 주연; 신영균 김지미 이수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