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향
Wagner Tannhäuser WWV 70 (Act 3 ) Wolfram's Aria Wie Todesahnung ...O du mein holder Abendstern 오, 아름다운 저녁별이여 <제3막> 바르트부르크 계곡 볼프람(음유 시인이자 기사)이 혼자 남는다. 남몰래 엘리자베트를 사모해왔던 그는 애수에 젖어 그녀에게 전하는 마지막 인사를 보낸다. 그는 하프 반주로 레치타티보 '죽음의 예감처럼 저녁의 어둠 이 대지를 덮고'로 시작하는 유명한 바리톤 아리아 저녁별의 노래 '오, 아름다운 저녁별이여'(O! du mein holder Abendstern) 를 부른다. 아름다운 저녁별이여, 나는 항상 너를 기쁨으로 맞이한다. 그녀가 내 곁을 지날 때면, 그녀를 배신하지 못하는 한 남자의 인사를 네가 대신 전해다오, 어둠이 온 산과 계곡을 뒤덮기 시작한다. 완전한 어둠이 찾아오고 하늘에는 별이 빛난다. 볼프람은 엘리자베르트의 죽음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예감 하고, 저녁별을 향해서 그녀가 속세의 골짜기를 지날 때면, 하늘 나라에서 천사가 되게 해달라고 기원한다. Wie Todesahnung Daemm'rung deckt die Lande, Umhuellt das Thal mit schwaerzlichem Gewande, der Seele, die nach jenen Hoeh'n verlangt, vor ihrem Flug durch Nacht und Grausen bangt. Da scheinest du, O! lieblichster, der Sterne, dein sanftes Licht entsendest du der Ferne, die naecht'ge Daemm'rung theilt dein lieber Strahl, und freundlich zeigst du den Weg aus dem Thal. O du mein holder Abendstern, wohl gruesst'ich immer dich so gern; vom Herzen, das sie nie verrieth, gruesse sie, wenn sie vorbei dir zieht, wenn sie entschwebt dem Thal der Erden, ein sel'ger Engel dort zu werden, wenn sie entschwebt dem Thal der Erden, ein sel'ger Engel dort zu werden, 죽음의 예감처럼 어둠은 땅에 내려 검은 옷자락으로 골짜기를 덮는다. 그의 조롱을 탐하는 영혼은 어둠과 공포의 비행이 두렵다. 이때 너는 나타난다! 귀여운 별이여 너는 부드러운 빛을 멀리서부터 던져 그의 반짝임은 밤의 불안을 물리쳐 산속의 길을 은은히 가리킨다. 아, 나의 다정한 저녁별아 나는 언제나 밝은 인사를 보낸다. 그녀가 너의 밑으로 지나갈 때 그녀를 믿는 마음으로 인사를 보내라 천국의 천사가 되기 위하여 지상에서 그녀가 사라질 때까지 탄호이저는 13세기 독일 민네징거(Minnesinger) 전설을 소재로 바그너가 30세 때인 1843년부터 작곡하기 시작하여 1844년에 완성한 3막의 오페라로, 민네징거란 가수 겸 작곡과 작사의 재능을 가진 음유시인을 뜻하는 말이다. 1845년에 드레스덴에서 초연 후, 두세 번 개정을 했으며, 1861년 파리에서 상연되었을 때 오늘날의 형태(3막)가 되었고, 탄호이저와 바르트부르크의 노래 시합이 원래의 제목이다. 13세기 초의 튀링겐 삼림지대 북쪽 근처에 있는 관광지이며, 바흐가 태어난 아이제나흐의 바르트부르크 성을 배경으로 방탕한 유혹의 손길에 빠진 음유시인 탄호이저와 숭고한 희생으로 그를 구원하는 영주의 조카 조카딸 엘리자베트의 청순한 사랑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베누스(비너스)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해 괴로워하는 탄호이저의 정신적 갈등을 부각하면서 영혼과 육체의 방황을 그리고 있다. Dietrich Fischer Dieskau, bass-baritone Orchester der Deutschen Oper Berlin Otto Gerdes, c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