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새아침이 밝아오며는
발걸음 가벼운 태양의 거리
푸르른 하늘을 쳐다보면서
오늘도 그대와 둘이서
*그리운 서울 정다운 마음 반짝이는 눈동자
그리운 서울 불타는 가슴 언제언제까지나
남산의 오솔길을 걸어가면서
그리운 그 노래를 불러봅니다
흘러가는 강물 영원한 사랑
변함없는 내사랑 그대여
*Repeaet
성당의 종소리가 들리는 저녁
네온의 바다에서 꿈을 꾸었네
물결에 흔들리는 조각배처럼
아- 행복한 명동의 거리
*Repeat
라랄라 랄라 랄라랄라라-
라랄라 랄라 랄라랄라라-
라랄라 랄라 랄라랄라라-
![]()
패티김(Patti Kim, 1938년 2월 28~ )은 대한민국의 팝가수로, 본명은 김혜자이다.
세계적 스탠더드 팝 가수 '패티 페이지'의 이름을 따서 '패티김'이라는 예명을 얻었다. 1959년 에 미국 제8군 무대에서 본명으로 데뷔했다.
1959년 여고를 졸업하고 '사랑의 맹세'(Till)로 데뷔했다.
박춘석이 작사한 외국곡이다.
"틸(Till), 푸른 밤하늘에 달빛이 사라져도 사랑은 영원한 것,
Till, 찬란한 태양이 그 빛을 잃어도 사랑은 영원한 것" 이라는
데뷔곡부터가 사랑 노래이다.
언제나 그의 노래는 사랑 그리고 이별의 상징 같은 존재다.
그는 세종문화회관에서 그리고 뉴욕 카네기홀에서
대중가요를 부른 첫 번째 한국인이다.![]()
8·15 해방과 6·25 동란을 계기로 우리나라에 주둔하게 된 미 8군의 무대에서 활약할 때에는 서양음악을 우리나라에 소개하고 보급하는데도 주도적 역할을 했다.
그가 스탠더드 팝의 '영원한 디바'(diva, 프리마돈나)라고 불리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길옥윤(1927~1995)이 패티김의 음악적 동반자라는 사실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길옥윤은 대중음악의 작사가·작곡가 섹스폰 연주가인데 그 능력을 유감없이 보였다.
그는 1943년 경성치대에 다니다가 음악에 심취하게 되었고, 광복 직후 그룹 '핫 팝'을 결성하여 연주활동을 해 왔다.
1966년 패티김이 '4월이 가면'을 취입하고 길옥윤과 결혼한 사건은 유명하다.
"눈을 감으면 보이는 얼굴, 잠이 들면 꿈속의 사람,
사월이 가면 떠나간 사람, 오월이 오면 울어야 할 사람…"
길옥윤의 작사·작곡과 패티김의 노래는 운명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잘 맞는다.
그들의 결혼생활은 7년 계속됐지만 사랑과 이별을 주제로 한 그들의 노래는 영원하다.
길옥윤은 서양음악을 적극 수용하면서도 한국적 색깔을 가진 음악을 보급하는데 힘쓰기도 했다.
'뭐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우직녀 - 심수봉 (0) | 2020.01.05 |
---|---|
그대는 - 나훈아 (0) | 2020.01.05 |
사랑하는 마리아 / 패티킴 (0) | 2020.01.05 |
이수의 왈츠 / 패티킴 (0) | 2020.01.05 |
람디 람디 담 / 패티 김 (0) | 202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