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that you have is your soul /
Tracy Chapman
Oh my mama told me
’cause she say she learned the hard way
Say she
wanna spare the children
She say don’t give or sell your soul away
’cause
all that you have is your soul
Don’t be tempted by the shiny apple
Don’t you eat of a bitter
fruit
Hunger only for a taste of justice
Hunger only for a world of
truth
’cause all that you have is your soul
I was a pretty young girl once
I had dreams I had high hopes
I
married a man he stole my heart away
He gave his love but what a high price I
paid
And all that you have is your soul
Why was I such a young fool
Thought I’d make history
Making babies
was the best I could do
Thought I’d made something
that could be mine
forever
Found out the hard way one can’t possess another
And all that you
have is your soul
I thought thought that I could find a way
To beat the system
To
make a deal and have no debts to pay
I’d take it all take it all I’d run
away
Me for myself first class and first rate
But all that you have is
your soul
Here I am waiting for a better day
A second chance
A little luck to
come my way
A hope to dream a hope that I can sleep again
And wake in the
world with a clear
conscience and clean hands
’cause all that you have is
your soul
All that you have
All that you have
All that you have
Is your soul
큼큼~
Tracy Chapman(트레이시 채프먼)이
"내영혼을 팔아 치우지 말거라,
네가 가진 것이라곤 네 영혼밖에 없단다.
정의에 대한 허기..
진실에 대한 허기..
내가 가진 것이라곤 네 영혼밖엔 없단다" 라고
속삭이듯 절규하는 노래을 듣고 있노라면..
내 젊은 날의 편린들이 꿈틀거린다.
이제는 별 의미도 없는
것들이지만..^^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375d930d01a76ab53762b618f1b5&name=Tracy%20Chapman-17.jpg)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375d930d01a773c637627e59fbb5&name=Tracy%20Chapman-10.jpg)
▒ 미국 포크, 록계의 저항가수 대모
Tracy Chapman(트레이시 채프먼)에
대하여..
트레이시 채프먼(Tracy Chapman)은 미국 오하이오 출신으로 80년대 후반에 활동한 포크-록(folk-rock)
싱어송 라이터이다. 그녀는 어린 시절 기타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곧 자신의 곡을 쓰기 시작했다.
대학 시절 장학금까지 받으면서 인류학과 아프리카학을 공부하던 시기에 그녀는 포크-록 음악에 매료되어
커피숍 등에서 연주를 시작하였으며 이후 대학 라디오 방송국에서 데모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1987년에 레이블과 계약을 맺은 채프먼은 1988년 봄에 데뷔 앨범을 발매하여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의 70회 생일에서 공연을 가진 그녀는 곧 국제적으로 유명해졌으며
싱글 [Fast Car]는 차트에 등장하여 6위까지 진입하였다.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375d930d01a7692e3762b618fdb5&name=Tracy%20Chapman-18.jpg)
다음해 초에 그녀는 최우수 신인상을 포함한 4개의 그래미(Grammy)상을 거머쥐었다.
1989년에 발매된 좀더 어둡고 정치적인 앨범 [Crossroads](89)는 전작에 비해 성공을 거두지 못했
얼마간 은둔 생활을 하던 그녀는 1992년에 [Matters of The Heart](92) 앨범을 발매하였는데
다양하게 엇갈린 평판과 부진한 판매고를 보였으며 소수 팬들의 지지만을 받는 위치로 전락하였다.
그로부터 3년 후, 그녀는 [New Beginnings](95)와 함께 돌아왔으며 전작들보다 강력한 호평을 받았다.
블루스적인 색채를 담은 'Give Me one Reason'은 커다란 히트를 기록하였다.
1970년대에 유행했던 자기 성찰적인 싱어송 라이터의 전통을 이어나가는 트레이시 채프먼은
신선하고 강력하면서 단순한 멜로디와 감성적인 가사를 담은 노래들을 만들어 내었다.
그녀가 첫 앨범을 냈을 당시, 이러한 스타일로 성공을 이룬 아티스트는 손에 꼽을 정도였다.
그녀의 성공은 1990년대에 나타나는 새로운 조류의 탄생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으며
10,000 Maniacs, 알이엠(R.E.M.)과 함께 정치적인 자유를 노래하면서
1980년대 후반 대학가에서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375d930d01a75f233762b61902b5&name=Tracy%20Chapman-19.jpg)
트레이시 채프먼은 이 음반으로 두 가지 사실을 증명했다.
하나는 [흑인도 포크 음악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포크는 영원하다]는 사실이었다.
이 앨범은 흑인 무명가수에 의한, 오랜만에 들어보는 포크음악이라는 점에서 주의를 집중시켰으며
그리고 88년 음악계를 강타하면서 신선한 충격파를 몰고 왔다.
그녀로 인해 포크가 백인의 전유물이라는 통설은 무너졌다.
그녀에 따르면 [포크는 앵글로 색슨계 흐름도 있지만 아프로(afro)계 전통도 있다]는 것이다.
그 당시 미국의 흑인가수들은 랩 또는 댄스음악을 했다.
트레이시 채프먼은 추세를 거역한 채 얼핏 동떨어진 포크 음악을 시장에 내놓았다.
그녀가 포크를 한데는 충분한 동기가 있었다.
그녀는 무엇보다 흑인동포들의 참담한 현실을 노래하고 싶었다.
그녀가 어렸을 적부터 보아온 것은 인종차별과 그에 따른 흑인들의 절대적 박탈과 좌절뿐이었다.
이런 비참한 상황을 담아낼 수 있는 음악은 유서깊은 [저항음악] 포크일 수 밖에 없었다.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375d930d01a71fc037627f42bab5&name=Tracy%20Chapman-16.jpg)
채프먼 스스로도 [포크음악은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 이슈를 다뤄온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 앨범은 사회적, 정치적 테마의 앨범이다.
80년대 미국의 흑인이 처한 상황을 먼저 알아야 대부분 수록곡들의 이해가 가능하다.
81년 출범한 레이건 행정부는 반공을 기치로 한 정치외교부문은 물론 경제정책에 있어서도
보수주의 신념을 강요, 작은 정부가 되겠다는 취지 아래 사회복지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흑인의 대다수인 하층민은 이에 따라 길거리로 내쫓겼으며 궁핍한 생활을 해야 했다.
이 앨범은 바로 이것에 대한 분노이다.
싱글 차트를 석권한 [고속자동차(Fast car)]은 송외계층의 처절함이 편의점에서 일하는
처녀의 얘기로 펼쳐진다. 그 처녀는 [오늘밤 떠나는 거야, 아니면 이렇게 살다 죽을
수 밖에 없어]라고 읊조린다.
채프먼은 이러한 절박함이 가지지 못한 데서 오는 것임을 암시한다.
[벽 뒤에서(Behind the wall)]에서는 어처구니 없게도 폭력이 하층민을 괴롭히고 있음을
강조한다. 가난에 울고 폭력에 멍드는 이 비참한 현실은 궁극적으로 민주국가라는
미국의 반민주적 행태인 [인종차별]을 이야기한 것이다.
[경계선을 가로질러(Across the lines)]가 그것을 또 한번 짚어내고 있다.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375d930d01a7375b37627e59feb5&name=Tracy%20Chapman-11.jpg)
이 앨범은 이렇게 레이건이 그토록 자랑한 [아메리칸 드림]의 어두운 뒤안길을 축약해 냈다.
이것이 이 작품이 가지는 소중한 가치다. 이런 상황을 벗어나는 길은 결국 혁명이다.
채프먼은 감히 ]혁명에 대해 얘기하며(Talkin' about a revolution)]를 노래한다.
이 앨범이 말하고자 하는 키 포인트가 이 곡에 함축되어 있다. 오락과는 거리가 먼 이 같은 사회성은 채프먼
자신의 세대에게도 적중했지만 과거 변화를 꿈꾸며 학생운동에 참여했다가 이제는 중년과 중산층이 된
베이비붐 세대에게도 경종을 울렸다.
이 앨범은 기성세대로 하여금 60년대 포크시절에 대한 향수를 자극했고 희석화된 양심을 되살려 꿈틀거리게
했다. 앨범 전체가 맑고 순수하기 그지없다. 채프먼의 낭랑한 콘트랄토와 청아한 통기타연주 때문이다.
그렇다고 사운드가 단순하지는 않다.
베이스의 래리 클레인, 스틸 기타의 에드 블랙, 퍼커션의 폴리너 다 코스타, 일렉트릭
피아노의 데이비드 라플램 등 연주자들은 포크연주 부문에서 잔뼈가 굵은 사람들이다.
탁월한 베이스 연주로 애럼 전체의 분위기를 이끌어가는 래리 클레인은 조니 미첼의 단골 세션 파트너였고
데이비드 라플램은 60년대 밴드 [잇츠 어 뷰티플 데이(It's A Beautiful Day)]의 멤버였다.
이들은 앨범의 격조 있는 연주와 건실한 사운드를 실현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앨범은 전세계적으로 1000만장 이상이 팔렸다. 채프먼은 이 앨범으로 최우수 신인가수
부문을 포함, 그래미상 3개 부문을 수상했다. 그것은 포크의 승전보였다.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375d930d01a7ad6437627e5a02b5&name=Tracy%20Chapman-12.jpg)
▒ Give me one reason / Tracy Chapman
Give me one reason to stay here and I'll turn right back around
Give
me one reason to stay here and I'll turn right back around
Because I don't
want leave you lonely
But you got to make me change my mind
Baby I got
your number and I know that you got mine
But you know that I called you I
called too many times
You can call me baby you can call me anytime
But
you got to call me
Give me one reason to stay here - and I'll turn right back around
Give me one reason to stay here - and I'll turn right back around
Because I don't want leave you lonely
But you got to make me change my
mind
I don't want no one to squeeze me - they might take away my life
I
don't want no one to squeeze me - they might take away my life
I just want
someone to hold me and rock me through the night
This youthful heart can love you and give you what you need
This
youthful heart can love you and give you what you need
But I'm too old to go
chasing you around
Wasting my precious energy
Give me one reason to stay here - and I'll turn right back around
Give me
one reason to stay here - and I'll turn right back around
Because I don't
want leave you lonely
But you got to make me change my mind
Baby just give me one reason - Give me just one reason why
Baby just
give me one reason - Give me just one reason why I should stay
Because I
told you that I loved you
And there ain't no more to say
Give me one reason / Tracy Chapman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375d930d01a7189237627e59f4b5&name=Tracy%20Chapman-7.jpg)
▒ Fast Car / Tracy Chapman
You got a fast car
And I got a plan to get us out of here
I been
working at the convenience store
Managed to save just a little bit of
money
We won't have to drive too far
Just 'cross the border and into the
city
You and I can both get jobs
And finally see what it means to be
living
너, 차 가지고 있지
나한테 여길 뜰 계획이 있거든
그 동안 편의점에서 일하면서
아주 조금이지만 그럭저럭 돈을
모았어
너무 멀리 가지 않아도 돼
그냥 여기만 벗어나서 가까운 도시로 가자고
우리 둘 다 일자리 구해서
사람답게 한번
살아보자
....
You got a fast car
But is it fast enough so you can fly away ?
You
gotta make a decision
You leave tonight or live and die this way
너, 차 가지고 있지
그거 하늘을 날 수
있을 만큼 빠르니
지금 결정해
오늘 밤 여길 떠나든지
아니면 이렇게 살다 죽든지
Fast Car / Tracy Chapman
![](http://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375d930d01a7ffd737627f42b6b5&name=Tracy%20Chapman-15.jpg)
☞ tracy chapman / cross roads